Load
Load
> 자료실 > 유산균(프로바이오틱스)
유산균 생리활성 작용
1) 장내 유해균 억제 및 정장작용
• 유산, 초산, 지방산 생성으로 유해균 생육 저해
• 병원성 세균의 장내 부착 방지로 인체 감염 억제
• 장관내 생산된 하리독소의 중화 및 세포 침입 방지
• 천연항생물질인 박테리오신 분비로 부패세균 억제
• H2O2의 살균 작용 등에 의해 설사, 장염 등 예방 및 치료
2) 비타민 B군의 생성
• 무균의 흰쥐에게 엽산 결핍성 사료를 투여 →엽산 결핍증
• 이 사료에 유산균을 섞어 투여 → 엽산 결핍증 해소
• 이것은 유산균이 비타민 B2, B6, B12, 니코틴산, 판토텐산, 비오틴, 이노시톨, 엽산 등의 비타민 B 군과 비타민K 등을 합성
3) 변비 개선
• 유산균이 만드는 유산 및 초산이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켜 변비를 개선한다.
• 여성의 경우 월경 직전에 설사를 하거나 월경 직후에 변비가 되는 현상을 반복
• 나이가 들면 누구나 타액과 위산분비의 저하와 장 운동의 약화로 비피더스균은 감소하고 웰시균 등 부패균은 증가하여 변비가 나타나기 쉽다.
• 비피더스균은 정상적인 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. 그러나 변비인 사람의 변에서는50%만 볼 수 있다.
• 변비에 걸리면 이상 발효에 의해 암민, 암모니아, 트립토판 등 유해물질이 다량 생산되어 직장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.
# 변비 위험군
• 생리가 있는 여성
• 식사량이 적은 다이어트 중인 여성 또는 노인
• 식이섬유를 부족하게 섭취하는 분
• 밀가루 또는 고기류만을 주로 섭취하는 분
• 물의 섭취가 하루 2~3리터가 안 되는 분
• 스트레스로 인한 위와 장의 기능이 저하된 분
• 장내에 유산균이 없거나 적으신 분
4) 장내 독소 생산 억제
• 유해 장내 세균: 대장균과 포도상구균
• 대장균: 해수욕장, 풀장, 생선, 식품 등의 오염지수
• 대장균, 살모넬라, 적리균 등의 유해균은 아미노산(단백질이 분해된 것)에 작용하여 각종 암민을 생성.
• 암민은 체내에서 유독한 것이 많고 혈압 상승 초래.
• 암민과 초산염과 결합하면 강한 발암성을 가진 나이트로소 암민이 된다.
• 유해균은 인체에 유해한 암모니아, 인돌, 훼닐 등을 생성하여 간성뇌증, 발열, 순환기계의 이상을 유발하며 암의 발생 촉진.
• 병약하거나 피로, 약물 복용으로 대장균이 증가 → 유해물질이 대량 생산 → 간장장애, 설사, 변비, 대사장애, 빈혈 등의 원인
• 유산균이 유해세균 성장 억제 → 장내 독소 생산 억제
5) 감기증상 완화
• 감기에 걸리면 위장의 운동이 약해지고 위산분비 감소 → 소화력 및 살균력이 저하 → 장내의 독소, 유해물질 대량을 생산.
• 유산균 섭취 → 장내균의 밸런스가 유지 → 감기로 인한 소화불량, 설사 등 완화.
6) 스트레스 완화
• 스트레스가 쌓이면 감기와 비슷한 상황이 위, 장에 발생 → 장내 균형 붕괴.
• 평소 유산균을 섭취 → 스트레스에 의한 소화기 증상 완화 또는 예방.
7) 항암효과
• 유기산이 장내 pH 저하 → 낮은 pH 에 약한 병원균(병원성 대장균, 적리균, 티브스균, 콜레라균, 포도상 구균등)에 강한 항균작용 → 증식을 억제 또는 사멸 → 감염 방지.
• 유산균이 장내에서 → 발암 물질인 암모니아와 독성물질 생성 방지.
• 쥐 실험으로 장내 Bifidobacterium의 존재가 암의 발생을 억제 효과 있음을 확인
Bifidobacterium longum → 쥐의 간암발생률과 평균 종양수 저하
Lactobacillus acid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 → Sarcoma-180등과 같은 암세포조직 발생 억제.
8) 노화 억제 작용
노년기 장내 균총의 특징
• 혐기성 균이 우세한 것은 성년기와 차이가 없음
• 비피더스균이 감소하고 대장균과 웰시균 등 유해균이 급속히 증가
• 유해균은 장관내의 음식물 특히 단백질 및 지방을 부패시켜 유해물질을 생성 → 혈액으로 들어가 노화를 촉진.
• 노년기의 지속적 유산균 공급 → 유해균 증식 방지로 노화 억제.
9) 내인성감염 억제 작용
내인성 감염은?
• 체내에서 약한 병원성을 가진 세균이 몸의 저항력이 약해지면 증식하여 여러 가지 감염이 발생하는 것.
• 내인성 감염을 일으키는 균에 대장균, 포도상균, 녹농균, 박테로이디스 등이 있다.
• 항생제를 장기간 투여 → 비피더스균 감소 →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기 쉬운 대장균, 포도상균, 녹농균, 박테로이디스 등 잠재성 병원균이 증식 → 폐렴, 방광염 등 발생
• 항생제를 장기간 복용 시 유산균을 같이 섭취하면 내인성 감염 예방
10) 간경화 개선 작용
• 간경화; 말기로 갈수록 암모니아 생성량이 증가 → 간성 뇌증으로 발전
• 간성 뇌증의 치료
- 유해 물질이 있는 장관을 세척
- 세균이 많은 결장 제거
- 장에서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우레아제 생성균을 없애는 방법을 사용.
•우레아제 세균 증식을 억제
- 비피더스균의 증식 인자인 락토오즈를 투여
- 비피더스를 비롯한 유산균을 직집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
- 음주 → 유산균 사멸 및 장내 유해균의 증식 → 독성물질 증가 → 간의 부담 증가 ; 유산균 섭취로 유해균 증식억제 필요.